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경제안보외교센터
  5.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글자크기

경제안보 Review 24-22호(美 우주 정책 동향 및 시사점, EU 집행위 출범 및 美 신정부 관련 대응,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 기고글)

부서명
경제안보외교과
작성일
2024-12-13
수정일
2024-12-27
조회수
452

경제안보외교센터는 '경제안보 Review'  24-22호 (12.13일자 발간)을 작성하였습니다.

24-22호에서 포함하고 있는 보고서의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제안보분석) 美 우주 정책 동향 및 시사점

(경제안보현안) ’24-’29년 EU 집행위 출범 및 美 신정부 관련 대응

(경제안보연구동향)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무역정책의 활용

원문: Trading Tensions: Navigating Policy Tools for a Diverse Critical Minerals Supply Chain (SAFE 핵심광물전략센터, ‘24.10)


*경제안보 Review는 2023년 1월부터 격주로 발간되는 경제안보외교센터의 정기간행물로

  경제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

(경제안보분석) 美 우주 정책 동향 및 시사점

김수연 전문관


■ (배경) 우주개발의 주체가 정부에서 민간주도로 전환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서 우주 산업의 복잡한 밸류체인, 기술혁신 등 경제안보 관점에서 우주의 중요성 역시 확대

○ 미국 등 주요국은 우주․항공 분야를 전략기술․산업에 포함하여 기술혁신, 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수출통제 등 기술 보호를 위한 노력도 진행

■ (美 우주 정책)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부터 우주 상업화 및 미국 우주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며 중국 등 경쟁국 견제를 위한 전략과 함께 우주 외교 중요성 강조

○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유지 또는 강화될 전망이나, 우주발사체 관련 규제가 완화되고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에 대해서 다소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

■ (국내 정책 및 산업) ‘제4차 우주개발 기본계획’을 토대로 ▴중장기 우주개발 ▴우주 탐사․과학 ▴민간 참여 우주산업 확대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 추진 중

○ ’22년 국내 우주산업 활동금액은 3조 6,551억원으로 세계시장(약 523조원)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며, 우주 산업 위성 서비스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기업 역시 매우 영세한 상황

■ (한미 우주 교역 현황) ’22년 기준, 미국/캐나다에 2,747억원(총수출액의 37.7%)을 수출하고 763억원(총수입액의 32.6%)을 수입한바, 북미와의 우주 상품 수출입 비중이 높은 편

○ 우리나라 수출의 대부분이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분야인바, 미국/캐나다 수출입 역시 해당 품목 및 그 원자재 위주로 구성

■ (한미 우주협력 현황) ▴우주항공청-NASA 간 아르테미스 연구협약 체결 ▴한미 민간우주대화 추진 등 우주항공청, 외교부 등은 한미 간 우주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 중

■ (시사점) 우주는 국가안보, 외교의 주요 축으로서 작동하고 있으며, 우주개발에 따른 신산업 창출, 우주 인프라․기술 보호 등 경제적 중요성도 확대 중

○ 우주는 기술․경제․안보․국방 등 여러 분야가 융복합되는 영역으로 민․관․군의 전략적인 협력과 함께 국제협력이 필수적이며, 우주 외교 전략 수립 등 우호적인 우주 협력 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


(경제안보현안) ’24-’29년 EU 집행위 출범 및 美 신정부 관련 대응

임산호 선임전문관


개요

■ ’24.12.1일, 재임에 성공한 우르슬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이끄는 집행위원회가 공식 출범

ㅇ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24.6월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를 거치면서 EU 집행위원장에 재임되었으며, 11.27일 유럽의회에서 위원장 외 26인의 위원*으로 구성된 집행위원회를 최종 승인

* 26인의 집행위원 중 위원장인 폰데어라이엔을 포함해 중도 우파에 속하는 유럽인민당(EPP)가 14석으로 다수 차지/ 집행위원회 업무는 무역, 경쟁, 디지털, 농업, 국방, 주택 담당 등으로 나뉘며, 집행위원장을 포함해 27개 회원국에서 각 1인씩 선출

ㅇ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을 포함한 유럽 정상들은 미국 대선 직후인 11.8-11.9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비공식 EU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대미 전략 방안을 논의했으며 EU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

■ 최근 EU 집행위의 출범을 둘러싼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전망


전망 및 시사점

■ 폰데어라이엔 2기 집행위에서는 1기 집행위에서 추진되었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기업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에코디자인규정*** 등 여러 경제안보 관련 조치들이 시행될 전망이며 동 조치들은 근시일 내 우리 기업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현재 전환기간, 26.1월~ 본격시행): 본격시행 후 CBAM 인증서 구매 의무/ 배출량 관련 원산지, 생산비용, 생산공정 등 상당한 내용을 요구하고 있어 기업들의 정보공개 부담 존재 (경제안보 Review 24-9호 (24.5.24일자))

** 기업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27년 시행 계획): 기업 공급망 내 인권·환경보호 강화를 위해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평가하고 방지·완화하도록 조치 / 대상 기업을 넘어 자회사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적용, EU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 중 다수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 (경제안보 Review 24-9호 (24.5.24일자))

*** 에코디자인규정(24.7월 발효) 기존 에코디자인지침을 대체하여 제안된 규정으로, 범위를 기존 30여 개 품목에서 EU 내 유통되는 제품 일반으로 확대 / 디지털제품여권(DPP) 도입을 규정하며, 상품의 전체주기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소비자에 제공하도록 함. 도입시 기업들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  (경제안보 Review 24-9호 (24.5.24일자))

- ’26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는 CBAM과 관련해 국내 철강․알루미늄 관련 기업들의 인증 부담이 확대될 전망이며, 현재 EU는 ’25년 중 미국 및 기타 국가들의 조치가 유럽의 인증 메커니즘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지 발표할 계획임에 따라 지속 관찰이 요구됨  

- 이외 EU에 수출하는 역내외 기업들의 공급망 실사 의무를 담고 있는 CSDDD도 ’27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될 계획이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우리 주요 대기업과 관련 협력업체들도 모두 규제 대상으로 포함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대비가 필요  

■ 미-중 관세 전쟁 발생 시 미국 외 시장으로 과잉생산 된 중국산 제품들이 공급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유럽이 이차적 파급 효과를 우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글로벌 무역의 흐름 변동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을 전망 / 유럽의 대응에 따라 우리나라에 미칠 추가 여파도 지속 관찰 필요

-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이 밀어내기를 하고 있는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디스플레이, 조선, 철강, 화학 등이 전부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 내수시장은 물론 해외 수출시장의 입지에도 타격이 있을 것

-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과잉공급과 이에 따른 글로벌 무역장벽의 확대는 우리 공급망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미국 新 행정부와 잠재적인 무역 갈등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EU 및 EU 회원국 중심으로 무역 다각화 및 산업 경쟁력 고취를 위해 한국 산업계와의 협력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동향 관찰

- EU 집행위가 출범 후 100일 내로 발표하기로 공약한 ‘청정산업딜’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 중점을 둔 탈탄소화와 산업 경쟁력 확보를 골자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 미 대선 이후 미국 내 청정에너지  지원정책의 동력이 떨어진 것과 별개로 유럽 내 청정에너지 전환 수요는 지속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된 우리 기업들의 진출 잠재력 높을 전망

- EU의 경쟁력 고취를 최우선 과제로 삼는 집행위 2기에서 첨단 제조업 부문에 강점이 있는 한국 산업계와의 높은 협력 수요가 관찰 → 유럽 국가별 비교우위와 우리나라와의 상호보완 요소를 고려해 구체적으로 우리 기업이 진출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부문을 발굴할 필요

- 그 과정에서 EU 집행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법안들이 한국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간 대화도 중요할 전망*

  *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두 번째 임기의 가이드라인으로 발표한 정책서에서 비-EU 파트너 국가들이 유럽의 법안에 의해 받을 영향을 고려하겠다고 명시하고, EU에서 한국 등 역외 파트너국과 협력이 미래 경쟁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우호적인 협상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



======================================================================================



(경제안보연구동향)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무역정책의 활용

원문: Trading Tensions: Navigating Policy Tools for a Diverse Critical Minerals Supply Chain (SAFE 핵심광물전략센터, ‘24.10)

황지현 전문관

※ SAFE(Securing America’s Future Energy) : 미국의 에너지안보 관련 비영리법인으로 에너지 정책 연구, 입법 제언 등 활동을 수행 / SAFE 핵심광물전략센터는 美 국무부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금융회의(‘24.9.23)를 공동 개최


미국에 대한 핵심광물 공급망 정책 제언

■ (일방조치 및 협정 체결) 미국은 핵심광물의 윤리적인 공급망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관세, 수출 통제 등의 기존 무역 조치를 강화하고 주요 동맹국 및 파트너국과 핵심광물협정(CMA) 등의 양자·다자협정 체결을 확대할 필요

○ (공급망 투명성 강화) ▴국방수권법(NDAA) 내 공급망 추적요건 확대 적용* ▴관세율표 코드 개정 등을 통해 핵심광물 공급망 전반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기존 무역 정책의 효과성을 증대

* 국방수권법은 국방 관련 조달품을 대상으로 공급망 추적 의무를 부과하지만, 미국의 국가안보 및 경제적 번영에 핵심적인 배터리 등의 첨단 기술에 사용되는 광물에도 해당 공급망 추적요건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

○ (협정 체결 확대) ▴무역촉진권한(TPA) 갱신 ▴주요 광물 채굴·가공국과의 협정 체결 추진 등을 통해 안정적이고 책임성 있는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을 도모

■ (국내 생산 촉진) 미국의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외 의존도를 축소하기 위해 핵심광물의 국내 생산·가공에 대한 투자 증대 및 재활용 등 기술에 대한 R&D 역량 강화가 긴요

○ (역내 핵심광물 생산 확대) ▴美 수출입은행(EXIM) 및 개발금융공사(DFC) 자금을 기반으로 미국 내 핵심광물 프로젝트 우선 지원 ▴MSP·PGI를 활용한 동맹 공급망(allied supply chain) 개발 촉진 등을 통해 미국 및 동맹국에서의 핵심광물 생산 확대를 위한 실질적 역량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