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뉴포커스

김홍균 1차관, 한-아세안 관계조망 국제회의 기조연설

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등록일
2024-11-07
조회수
3904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김홍균 1차관, 한-아세안 관계조망 국제회의 기조연설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11.7.(목)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 및 한-아세안센터* 설립 15주년을 맞아 개최된 '2024 한-아세안 관계조망 국제회의**'에 참석하여 기조연설을 했습니다.


* 한-아세안센터(ASEAN-Korea Centre)는 한-아세안 간 경제‧사회·문화·인적교류 분야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20주년을 기념하여 2009년 3월 서울에 설립된 국제기구


** 이번 회의는 한-아세안센터가 주최하였으며,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미래를 향하여'라는 주제하에 (정치·안보)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의 비전 (경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제 회복력 강화 (사회·문화) 한-아세안 사회·문화적 유대 강화 한-아세안센터의 전략적 비전 등을 논의 / 라오스 부총리겸 외교장관, 태국 외교차관, 아세안 사무차장 및 주한아세안대사단 등 300여명 참석



  김 차관은 한국과 아세안이 처음으로 대화 관계를 맺은 1989년 이래 지난 35년간의 발전상과 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을 통해 아세안과 전방위적이고 포괄적인 미래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 한-아세안 협력의 발전상 : 아세안은 한국의 2대 교역 대상 및 2대 투자 대상


  - 교역 : 82억불(1989년) → 1,892억불(2024년) (23배 증가)

  - 투자 : 0.92억불(1989년) → 74억불(2024년) (80배 증가

  - 인적 교류 : 28만명(1989년) → 1,018명(2024년) (37배 증가)



  김 차관은 지난달 라오스에서 개최된 제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안이 최고 단계의 파트너십인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를 수립하여 관계 발전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김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한-아세안 정상회의시 제시한 향후 35년을 향한 미래 비전인 전략적 소통 활성화와 포괄 안보 협력 확대 디지털 혁신, 환경, 스마트 시티 등 미래 분야 협력 확대 차세대 교류 증진을 상세하게 소개했습니다.  


*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 아세안이 대화상대국과 수립하는 최고 단계 파트너십 / 호주·중국(‘21), 미국·인도(’22), 일본(‘23), 한국(’24) 수립



※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미래 비전


  - (전략적 소통 활성화 및 포괄안보 협력 확대) 한-아세안 국방장관회의의 최초 대면 개최(‘24.11월) 퇴역함 양도 등 해양안보협력 아세안의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 지원사업 등

  - (미래분야 협력 확대) 한-아세안 디지털 플래그십 프로젝트(KADIF) 한-아세안 메탄감축 협력 사업(AKCMM)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출범 등

  - (차세대 교류 증진) ‘25-’29년간 아세안 미래인재 4만명 양성 지원(Inclusive Education Modules Program, IEM “이음”) 이공계 첨단분야 장학생 사업(STEM Forward Scholarship) 확대 등



  한편, 김 차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북한의 러시아에 대한 무기 지원 및 파병 등 불법적인 군사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노골적인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지적하고, 한국과 아세안이 이러한 위협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합되고 분명한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김 차관은 ‘8.15 통일 독트린’을 포함하여 우리 대북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습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전화
02-2100-8252